2025. 9. 17. 07:09ㆍ헤드라인뉴스
★★09월 17일 (수) 주요신문 헤드라인★★
《경 제》
☞미국 시장서 관세 역전된 한국 자동차…유럽 선전으로 돌파하나...최대 수출 시장 미국서 타격 불가피...전기차 중심으로 유럽 지역 크게 증가
☞‘2차 소비쿠폰 특수 온다’..편의점 업계 총력전...편의점 각사 '2차 소비쿠폰' 총력전...1차 당시 신장률 높았던 라면·신선식품 할인 확대
☞고리원전 건식저장시설 '5㎞까지만 의견수렴' 확정…시민단체 반발...'고준위 특별법' 시행령 국무회의 의결...건식저장시설 '주변 지역' 범위 명문화...시민단체 30㎞ 요구했으나 5㎞로 확정...'전력망 확충 특별법' 시행령도 의결
☞2분기 D램 16.6% 성장…2년래 최대폭 상승...2분기 매출 313억 달러...전 분기 대비 17.2% ↑...HBM 영향, SK 1위 굳혀...4위 中 CXMT·5위 난야
☞부동산도 그림도 쪼개 판다…이달 '조각투자 거래소' 인가 심사부터 시작...16일 국무회의서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 의결...금융위 "중소·벤처기업 사업자금 조달 원활 기대"
《금 융》
☞“반도체가 천장 뚫었다”…코스피, 3440선 돌파하며 5거래일 연속 최고치...코스피, 1%대↑…3449.62 마감...장중 3450선도 넘어서...개인 ‘팔자’ vs 외국인·기관 ‘사자’...삼전·하이닉스가 강세 이끌어
☞코스피 ‘불장’에 시중 유동성, 4개월 연속 상승...한국은행 2025년 7월 통화 및 유동성 발표...M2 4344조3000억원...한 달 새 36조원 늘어...증시 회복에 수익증권 늘어나며 4개월째↑
☞코스피, 신고가 이후 33주, 26% 상승했는데…개미들은 '하락 베팅'...11거래일 연속 상승, 연일 사상 최고치...외국인 6.5조 순매수, 개인은 9.2조 순매도...개인 투자 대기 자금도 약 4년만 최대치...투자금 몰리면서 하반기 코스피 상승 기대
☞저신용자는 싸게, 고신용자는 비싸게 빌린다…인뱅 대출 역설, 왜?...인위적 금리 조정 아냐…중저신용자 규제·채무조정 등 정책 영향...'30%룰' 지키다가…고신용자 역차별 '뭇매' 맞는 인뱅
☞자사주 소각은 세계 기준? "의무화 국가 드물다"...대한상의, 자사주 소각 의무화 문제점 연구...英·日 자사주 소각 의무없고 美·獨 일부 규제...시총 30대 비교하면, 한국 자사주 비중 낮아
《기 업》
☞석화업계 합종연횡 본격화…LG화학·GS칼텍스, NCC 통합할까...LG화학-GS칼텍스, 여수NCC 통폐합 논의...HD현대오일뱅크-롯데케미칼 수직계열화 논의
☞중동 긴장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사상 최고가...이스라엘의 가자시티 공격에 방산주 훈풍...현대로템·LIG넥스원·풍산 등 동반 상승
☞SK하이닉스 올라타니…미·중 빅테크도 제쳤다...SK하이닉스 5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가 경신...외국인 최근 한달새 1.7조 넘게 순매수...밸류체인 ETF, 미·중 기술주 공급망 상품 수익률 넘어서..."최근 주가 상승 강도 예상치 상회, 하방요인 고려해야"
☞고려아연 노사, 2025년 임단협 타결…정년 만 61세로 1년 연장...38년 연속 무분규 기록 달성...기본급 11만8000원 인상...통상임금 범위 확대도
☞'HD건설기계' 내년 1월 출범…합병안 주총 통과...HD현대건설기계·인프라코어 임시 주주총회서 합병안 통과...사명 'HD건설기계' 확정…10월10일까지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부동산》
☞"선택이 아닌 운명"…이재명 정부, 국가균형발전 본격 추진...5극 초광역권 출범 지원·3특별자치도 맞춤형 특례 부여...행정수도 완성…대통령 세종집무실, 임기 내 건립 추진..."대상 기관 전수조사"…20여년 만에 공공기관 이전 시동
☞사망사고 발생한 건설사 ‘선분양’ 제한…공사대금까지 옥죈다...선분양 제한 확대하는 주택공급 규칙 개정 추진...건설사, 분양대금으로 아파트 공사비 마련...선분양 제한 시 자체적으로 자금 조달해야...중대재해 시 대출 한도·금리 불이익...안전사고 시 미분양 리스크도 떠안게 돼
☞국토부 “LH ‘도급형 민감참여’ 건설사 64%는 시공능령평가 30위권 이내”...9·7 주택공급 확대방안 관련 우려에 참고자료 발표
☞국토부·서울시 ‘토허제’ 줄다리기…연장·확대 놓고 긴장감 ‘팽팽’...서울시, 17일 강남3구·용산 토허제 연장 논의 예정...국토부 입김 작용하나…마포·성동 등 확대 ‘주목’...투기 수요 억제 단기 조치…공급 정책 제동 ‘우려’
☞월세보다 벌금이 싸서?…'한강뷰 관사 알박기' 軍 간부, 매년 30명꼴...'한강 조망·학군 우수' 서울 용산구 군인 아파트...32평 퇴거 지연비 월 160만 원… 시세보다 저렴...5년간 165명 퇴거 명령 불응… 전국선 4214건...강대식 "관사를 '관테크' 악용… 대책 마련해야"
《사 회》
☞학교폭력, 초등생이 가장 많이 당했다…5.0%로 최대...전체 피해 학생 2.5%로 역대 최대…교육부, 2025년 1차 학교폭력 전수조사...피해 유형 언어폭력 39% 최다…교육부 초1∼2 대상 ‘관계회복 숙려제도’ 도입
☞근로복지공단, 산재보험 확대·퇴직연금 의무화 등 국정과제 착수...전국 기관장 전략회의…9대 과제별 공단 역할과 실행계획 논의
☞수개월째 초등생들 ‘자전거 무법 주행’···신고만 70건, 아산 배방읍에 무슨 일이...4~5명 몰려 다니며 차선 막고...교차로서 뺑뺑이·급정거 ‘곡예’...꾸짖는 주민과 출동 경찰에 욕설...초교 3곳 등 일대 무기한 순찰 시작
☞교사노조 "고교학점제, 학교서는 이미 문제 심각…재논의해야"...교사노조 '고교교육 대개혁 위한 요구안' 국교위에 전달...전교조, 11월 7일까지 고교학점제 폐지 10만 서명운동
☞"생명줄 끊길라"…당뇨병 환자들 '인슐린 공급중단' 공포...SLS바이오, 품질검사기관 재지정 불허 통보...다국적 제약사 완제 의약품, 공급중단 우려
《국 제》
☞트럼프 “美기업 실적보고 분기별→반기별로 해야”…뜨거운 찬반논란...트럼프 “중국은 50~100년 관점으로 기업 운영”...“단기실적 집착” vs “기업 투명성 훼손” 갑론을박
☞“몰랐다, 안 때릴 것” 트럼프 vs “알았다, 어디든 때릴 것” 이스라엘...꼬리물기에 중동만 ‘부글부글’...이스라엘, 카타르 공습에 아랍·이슬람권 ‘격노’...트럼프 “몰랐다, 추가 공습 없을 것” 카타르 달래기만...이스라엘 당국자 “미리 알렸다” 전언, 네타냐후 “어디든 타격”
☞FOMC 앞두고 스티븐 마이런·쿡 합류…수 대결 속 트럼프 "빅컷" 압박...마이런, 美상원 통과···쿡, 항소법원도 승소...前인사들 "트럼프 압박에 연준 실수 위험 심각"
☞日정부, 車관세 인하에 “환영”…대미 투자 이행 등 과제도 산적...車관세 27.5%→15% 인하에 日정부 “환영”...합의 후 56일 만…“일본 車업계 1.5조원 손실”...반도체·의약품 관세 ‘최혜국 대우’ 불명확하고 ‘美가 선정’ 758조원 대미 투자 이행도 관건
☞러 드론 침범에 유럽 대응 총력…피해국 폴란드는 러 우방 벨라루스인 체포...폴란드 "민감시설 비행 드론 무력화…벨라루스인 2명 체포"...스웨덴 "러 드론 폴란드 영공 침해 '의도적'…나토 역량 시험 차원"...영국, 폴란드 나토군에 타이푼 전투기 배치...EU, 핀란드 등 러 접경국 "드론 장벽" 계획
2025년 9월 17일 수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추석 차례상, 작년보다 저렴해졌다 → 전통시장 기준 28만 4010원으로 지난해보다 3090원 저렴. ‘한국물가협회’ 조사. 대형마트 평균은 37만 3540원. 이같은 하락은 배가 17% 내리는 등 채소와 과일 가격이 많이 내린 것에 기인. 달걀, 돼지고기, 사과 등은 상승(국민)
2. 금리 인하... 부동산 자극할까? → 미국이 기준금리를 더 내리게 되면, 한국도 기준금리 인하를 자극받고 대출금리도 함께 내려갈 것 전망. 그러나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돼 있어 주택보다는 상업용 부동산 활기 전망.(헤럴드경제)
3. 50년 전엔 ‘강남구’는 ‘성동구’ → 지금 강남구는 경기도 광주군에서 1963년에 서울특별시 성동구로 처음 서울에 편입되었다. 이후 1975년에 성동구로부터 신설 분리 되었다. 강남구는 개청 50주년을 맞아 25일부터 다음달 3일까지 코엑스 등에서 기념 공연 등 진행.(헤럴드경제)
4. 한국어 익힌 챗GPT·제미나이... 네이버 아성 흔드나 → 한때 검색시장 점유율 80%를 넘나들던 네이버는 최근(6~8월) 59.9%로 1~3월(65.3%) 대비 5.4%P 줄었다. 반면 구글은 26.6%에서 32.8%로 6.2%P 늘었다. 반격 실패하면 ‘디지털 주권 상실’ 우려 목소리도.(문화)
5. ‘파크골프’(Park Golf) → 1983년 일본 홋카이도 마쿠베츠 공원에서 처음 시작됐다. 한국에는 2000년대 들어 전해졌으며 현재는 중국·대만·몽골 등 아시아 지역과 북유럽, 미국 일부 지역까지 퍼지고 있다. 아직 국가 대항전은 없다.(문화)
6. 퇴직금 세금부과 폐지 법 발의 → 평생 일한 대가로 받는 것으로 노년 생활의 기본이 되는 돈인데 과세는 불합리... 김미애 의원, ‘소득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 사업주와 특수관계에 있거나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고액 퇴직금은 비과세 대상에서 제외.(매경)
7. 달리기 동호회 ‘떼지어 달리기 민폐’ → 늘어나는 민원에 지자체들도 제재 시작. ▷서울 서초구는 이달부터 반포종합운동장에서 5인 이상 단체 달리기 제한. 인원 간 2m이상 거리 유지 ▷서울 송파구는 석촌호수 산책로에 '3인 이상 러닝 자제' 현수막을 내걸었다.(한경)
8. 배타고 출퇴근... ‘한강 버스’, 18일 정식 운항 → 코스는 마곡-망원-여의도-옥수-압구정-뚝섬-잠실 7개 선착장, 28.9㎞, 총 8척 운항. 마곡에서 잠실까지 127분, 여의도에서 잠실까지 80분. 요금 3000원. 당분간 첫 배 11시. 10월 10일부터 첫 배 7시.(세계 외)
9. 노안, 수술 없는 시대 오나? → 하루 두 번 점안하면 시력 회복되는 안약 ‘유럽백내장·굴절수술학회(ESCRS)에서 발표’. 이 점안액에는 수정체를 조절하는 근육에 관여하는 약물 등 함유. 그러나 이 학회의 차기 회장이자 독일 보훔 대학교 안과 교수는 상용화 되기 위해선 추가연구 필요하다는 의견.(동아)
10. SKT·KT 멤버십 ‘영화티켓 할인’, 알고보니 → SKT회원은 1만 5000원짜리 티켓을 4000원 할인해 1만1000원에 상시 이용 가능. 이는 SKT가 극장사와 장당 7000원에 대량 구입하는 방식을 통해 가능, KT도 비슷한 구조. 시민단체, ‘7천원 주고 산 티켓 7천원에 파는 것은 진정한 할인 아니다’ 공정위 신고.(경향)
'헤드라인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9월 16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 신문을 통해 알게된 것들 (1) | 2025.09.16 |
---|---|
2025년 9월 15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 신문을 통해 알게된 것들 (0) | 2025.09.15 |
2025년 9월 12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 신문을 통해 알게된 것들 (1) | 2025.09.12 |
2025년 9월 11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 신문을 통해 알게된 것들 (3) | 2025.09.11 |
2025년 9월 10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 신문을 통해 알게된 것들 (1) | 2025.09.10 |